Memory Archive

메모리 아카이브, 화강석, 3채널영상 20’17”, 42인치 모니터, 2019 @세마창고
메모리 아카이브, 화강석, 3채널영상 20’17”, 42인치 모니터, 2019 @세마창고
메모리 아카이브, 화강석, 3채널영상 20’17”, 42인치 모니터, 2019 @세마창고

메모리 아카이브는 한국과 일본에서 구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을 기억하는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진행한 영상 설치작업이다. 인터뷰 영상은 총3대의 모니터에서 보여지며, 화강석으로 이루어진 불완전한 형태의 미로와 함께 배치된다.

1993년 김영삼 정부는 ‘역사바로세우기’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제식민지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구 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를 결정했다. 인터뷰 속 인물들은 당시 건물철거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던 인물들과 개인 블로그 당시의 기록을 남긴 인물들로, 건물에 대한 개개인의 기억과 철거 결정에 대한 여론과 분위기, 철거 반대입장에 대한 주변 반응, 첨탑이 잘려나가는 모습이 생중계되며 건물이 폭파되었다고 증언하는 집단기억 등 당시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분위기를 회상한다. 1995년과 2019년이라는 두 시점의 간극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일제 식민지에 대한 정형화된 기억의 구조(친일반일이라는 도식적, 폐쇄적, 이항대립적 시선)가 지금도 남아있지는 않는지 성찰한다.

A sketch for a Foundation(2019)

토대를 위한 스케치_싱글채널비디오 6’20”, 실커튼에 프로젝션, 가변크기 2019 @세마창고

 

토대를 위한 스케치_싱글채널비디오 6’20”, 실커튼에 프로젝션, 가변크기 2019 @세마창고

토대를 위한 스케치(2019)
싱글채널비디오 6’20”, 실커튼에 프로젝션, 가변크기, 2019

<A sketch for Foundation>(2018)을 다시 제작한 작업이다.
영상에서 구 조선총독부-국립중앙박물관은 환상의 모티브로, 미적 체험의 기억의 장소로 등장한다.  건물의 과거를 하나씩 꺼내어 보는 과정에서 나의 기억과 공식 서사와의 불일치, 그로 인해 발생하는 내적 혼란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그리고 이러한 혼란의 기록을 다른 누군가와 간접적으로 공유하고자 한다.

 

[전시] 우리는 만날 수 밖에 없다: 제1장_서울

2019년 8월9일부터 9월8일까지 대안공간 루프에서 독립큐레이터 지아-전 차이(대만)가 기획한 <우리는 만날 수밖에 없다: 제1장. 상처 입은 많은 이들이 모니터 밖으로 걸어 나와, 나를 외면한 채 지나쳐 간다.>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대안공간 루프
서울시 마포구 와우산로 29 나길 20
오전10시-오후7시(휴관 8월 15일)
무료 관람

오프닝: 2019년 8월 9일(금) 오후 6시
작가와의 대화: 2019년 8월 10일(토) 오후 3시-5시30분(한중 통역)
참여작가: 전소정, 정재연, 첸징위안, 첸페이하오, 차오량빈
전시기획: 지아-전 차이

[레지던시]TOKAS 오픈스튜디오

2019년 7월12일부터 14까지 삼일 간, 일본 TOKAS (Tokyo Arts and Space)에서 오픈스튜디오가 열립니다.
5월7일부터 7월15일까지 약 10주간 머물며 진행한 리서치와 비디오 작업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TOKAS Open Studio
2-14-7 Tatekawa, Sumida City
Tokyo-to 130-0023

Dates: 2019.07.12-14
Open hours: 11:00-17:00
Open Studio talk: 2019.07.13/14:00-16:00
Admission free

Oval Portrait

고보빔, 아크릴거울, 동판화, 백릿 프린트, 팔레트, 가변크기, 2018
고보빔, 아크릴거울, 동판화, 백릿 프린트, 팔레트, 가변크기, 2018

이 작업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의 전시실에서 열린 기획전 <뻐꾸기알>을 위한 설치 작업이다. <뻐꾸기알>은 다른 새의 둥지에 자기 알을 낳아 키우게 하는 뻐꾸기의 ‘탁란'(Brood Parasitism) 방식에 주목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입주작가 다섯 명이 서로의 것을 특징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소재, 또는 작품 전체를 자기 작품 안으로 들여와 원본의 문맥과는 다르게, 또는 심화시키는 방식으로 자기 작품에 원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획전이다. 정재연은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를 즉흥적인 방식으로 풀어내는 박경률 작가의 작업에서 모티브를 얻어 자신의 작업에 적용한다.

이번 전시에서 <로스트 코너>(2018)는 난지전시실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보여진다. 기존의 <로스트 코너>가 특정한 주제를 정해 놓고 전시장의 건축적 특징과 동선을 고려해 주제를 강조하는 목적의 전시 방식이었다면, 난지전시실에서 작업은 <로스트 코너>의 원래의 맥락과 주제에서 벗어나 작업의 일부를 떼어내거나 즉흥적으로 추가되어 다시 보여짐으로써 자신이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무언가를 위해 열어두고자 한다. 이 작업은 작업이 원래의 맥락과 주제에서 벗어나 어떻게 보여질 것인가에 대한 실험이자, 주제의식에 대한 강박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전시] 뻐꾸기알

2018년 10월4일부터 14일까지 난지전시실에서 열리는 <뻐꾸기알>전에 참여합니다.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난지전시실
서울시 마포구 하늘공원로 108-1
화요일-일요일(월요일 휴관)
오후2시-오후6시
무료관람

Lost Corner _Stained glass

Lost Corner_Stained glass_고보빔, 아크릴 거울, 커튼, 가변크기, 2018
Lost Corner_Stained glass_고보빔, 아크릴 거울, 커튼, 가변크기, 2018
Lost Corner_Stained glass_고보빔, 아크릴 거울, 커튼, 가변크기, 2018
Lost Corner_지하 전시전경, 2018 @아트스페이스 그로브

개인전 제목인 <로스트 코너>는 판화와 영상, 설치 작업으로 구성되었다. 화려한 양식의 오래된 건축 도면을 연상시키는 판화, 커튼의 주름을 타고 빙글빙글 돌아가는 조명으로 투사된 스테인드 글라스, 돌을 옮기는 행위를 반복하는 작가를 보여주는 영상, 각각의 이미지들은 전시장 구조를 따라 배치되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면서 영상에 이르러 전시를 완성한다. 영상의 배경음은 헤드폰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는데, 판화 속 건물이자 지금은 철거된, 옛 중앙청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앵커의 목소리로 전달한다. 앵커가 들려주는 ‘공식적 기록의 과거’와 작가의 행위는 서로 어긋나고 전혀 무관하게 보인다. 작가는 과거와 아무 상관없다는 듯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영상)을 식민지 건축에 대한 피상적 노스탤지어를 보여주는 판화 및 설치 작업과 파편적으로 병치시킴으로써 개인의 기억이 정치적 이념이나 집단적 이익에 의해 합의된 공적 기억과 상관없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불일치를 드러내고자 했다.

A Sketch for a Foundation(2018)

Lost Corner_A sketch for a Foundation, single channel video, 31’44”, 2018
Lost Corner_A sketch for a Foundation, single channel video, 31’44”, 2018
Lost Corner_A sketch for a Foundation, single channel video, 31’44”, 2018

영상 속에서 나는 돌을 옮기는 행위를 반복하며 미로와 유사한 구조를 만든다.
영상의 배경음은 헤드폰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는데, 지금은 철거된, 옛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앵커의 목소리로 전달한다. 앵커가 들려주는 ‘공식적 기록의 과거’와 작가의 행위는 서로 어긋나고 전혀 무관하게 보인다. 작가는 과거와 아무 상관없다는 듯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식민지 건축에 대한 피상적 노스탤지어를 보여주는 판화 및 설치 작업과 파편적으로 병치시킴으로써 개인의 기억이 정치적 이념이나 집단적 이익에 의해 합의된 공적 기억과 상관없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불일치를 드러내고자 했다.